[ 간병인구하기 ]

Q. 간병도우미란?

▶ 간병도우미는 간병인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간병도우미는 아픈 환자를 보호자를 대신하여 케어해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뜻 합니다. 의료관련 행위를 하는 것이 아닌 환자가 일상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입니다.

Q. 간병도우미 왜 필요할까요?

간병도우미를 구하는 손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집, 병원 어디든 상관없이 간병도우미를 많이 찾고 있습니다. 요즘엔 맞벌이부부 등 가족내에 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어서 24시간 환자를 케어해주기 힘든 가정이 많기 때문입니다. 환자가 병원에 있고 간호사가 있어도 환자 옆에서 1:1로 케어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가 생할하는 일거수일투족을 옆에서 지켜보고 도와줄 사람이 필요합니다. 간병인에는 여러종류가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맞는 간병도우미를 찾으면 됩니다.

[ 간병인이 하는일 ]

 

간병도우미가 하는일은 환자를 케어하는 모든 일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간병도우미가 있는 동안은 환자의 보호자가 간병도우미 이기 때문에 보호자가 할 수 없는 모든일을 해줘야 합니다. 가장 기초적인 위생관리부터 기본적인 환자 몸상태체크까지 자세하게 간병도우미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위생관리 : 거동이 많이 불편한 환자들은 화장실 가는 것 조차 힘들기 때문에 기본적인 위생관리가 필요합니다. 화장실에서 용변보는일 돕기, 소변줄관리, 침대시트 교체하기, 환자복 갈아입혀주기, 목욕도와주기, 머리감기기, 양치도와주기

② 식사 : 환자가 먹는 식사양과 음료의양 체크하기, 병원식사 도와주기,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음식 떠먹여주기, 약을 먹여주고 매일 체크하기

③ 청소 : 환자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주변청소를 해줍니다. 병원이라면 병실청소, 가정집이라면 침대주변과 방청소를 도와줍니다.

④ 몸상태체크 : 환자의 체온, 맥박 그리고 호흡수 등을 체크합니다. 이상이 있을 경우, 의사나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해야 합니다.

⑤ 기타 : 주변 산책하기, 심신안정과 지루하지 않도록 말벗되어주기, 심호흡이나 기침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휠체어 밀어주기,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간단한 운동도와주기

[ 간병인종류 ]

간병도우미 일당은 업체마다, 간병도우미의 경력마다 달라지게 됩니다. 가벼운 부상을 당한 환자, 중증환자, 치매환자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도 달라지게 됩니다. 간병도우미의 종류마다 달라지기도 합니다. 종류에 따라 간병도우미가 일하는 시간이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먼저, 간병도우미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① 개인간병도우미 : 일반적인 간병도우미로, 환자를 1:1로 케어해주는 간병인을 뜻합니다.

② 공동간병도우미 : 공동간병도우미는 여러명의 환자를 케어해주는 간병인을 뜻합니다. 보통 병원에서 한 명의 간병인이 여러병실의 환자들을 케어해줍니다. 공동이므로 환자측에선 개인간병인을 고용하는것 보다 비용적으로 부담이 없어서 환자들끼리 모여 공동으로 고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인간병인, 공동간병인 각각 장단점이 있는데 개인간병도우미는 한 명의 환자만을 돌봐주기 때문에 세밀한 부분까지도 놓치지 않고 모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공동간병인은 한 명의 간병인이 여러명의 환자를 케어해주기 때문에 작고 사소한 부분들을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게 지속 될 경우 심신안정을 취해야하는 환자가 불만이 쌓이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은 공동이기 때문에 한명이 내야 하는 부담감을 더 덜 수 있습니다.

③ 입주간병도우미 : 입주간병인은 환자 집에서 같이 생활하며 24시간동안 환자를 케어해주는 간병인을 뜻합니다. 하루종일 가족들이 환자를 돌봐줄 시간이 없을 경우 많이 찾는 간병도우미 입니다.

④ 단기간병도우미 :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환자를 케어해주는 간병인을 뜻합니다. 장기간 돌봐야하는 환자에 비해 비교적 단기간동안 환자를 케어해주는 간병인을 뜻합니다.

⑤ 하루간병도우미 : 하루동안 잠시 환자를 보지 못하거나, 정말 짧은 시간동안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할떄 하루간병도우미를 구하면 됩니다.

[ 간병인비용 ]

(2019년 현재기준)

- 4시간 > 4만원 , 8시간 > 9만원, 하루일당제 > 8~12만원, 입주 150 ~ 300만원 (가족형태, 거주 상황에 따라 달리), 출퇴근 100~350만원 입니다.

*이는 앞서 말했듯이 간병인경력, 환자상태, 시기 기타 유무에 따라 비용은 달라집니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비용으로 간병도우미를 구하는 곳이 있습니다.

보통 간병도우미를 구하려면 간병인업체를 찾는 분들이 많은데 업체를 통해서 간병인을 구하게되면 간병인과 환자를 알선해준 가운데 업체에 수수료를 내야하는 비용도 있고, 업체에서 정해준 가격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부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품에서는 이러한 수수료와 이미 정해져있는 부담되는 비용으로 간병인을 구하지 않고, 자신의 조건으로 원하는 간병인과 환자들이 직접 만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비용, 시간 기타 조건등을 따져서 나에게 딱 맞는 간병인, 환자를 구하는 곳! POOOM!


 

[ 간병인자격증 취득하기 ]
 

간병도우미를 찾는 분들도 있지만, 간병도우미가 되기 위해서 준비하는 분들도 계실텐데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병인자격증 (간병사자격증)]

① 응시자격 : 만 18세이상 대한민국인 이라면 남녀노소 누구나 간병사자격증에 응시 할 수 있습니다. 간병사자격증은 연령, 학력, 경력에 구애받지않고 취득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도 응시할 수 있으나 번역없이 한국말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합니다.

② 검정과목 : 시험은 필기와 실기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총60문항이 출제되고 4지선다 입니다. 100점만점중 총 60점 이상을 취득해야 합니다. 가산점을 부여 받을 수 있는 조건도 있으니, 해당 조건에 자신이 부합하는지 확인해보는것도 필수입니다. 필기검정과목은 간병이론과실제, 산모와신생아, 노인간병, 호스피스 총 네가지 과목을 치루게 됩니다. 실기시험은 필기검정에 합격한자만이 볼 수 있습니다. 필기검정에 합격하고 실기교육을 이수한 후 자격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③ 시험시간 : 60분

④ 취업 : 간병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병원이나 가정집에서 개인간병사로 일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노령화가 지속되면서 노인분들을 돌보는 곳에서는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금방 취직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양병원, 요양원 등에 취직 할 수 있습니다.